IT/JAVA
상수와 리터럴(constant & literal)
트레비라임
2020. 11. 24. 23:12
상수(constant)
상수 : 변수와 달리 한 번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.
상수를 선언하는 방법
- 변수의 타입 앞에 final을 붙여준다.
-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하도록 한다.
-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관례이며,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 '_'로 구분한다.
final int MAX_SPEED = 10;
리터럴(literal)
리터럴 : 12, 123, 3.14, 'A'와 같은 값들이다.
변수(Variable)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
상수(Constant)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
리터럴(Literal)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함
float : 접미사 생략 불가
double : 접미사 생략 가능
e : 10 제곱
문자 리터럴과 문자열 리터럴
char ch= 'a'; 문자열 한 개만 가능
char ch = ' '; // 공백이 있어야 에러 안남
char ch = ''; //에러
String str = " " //가능
String str = "" //가능